신문 스크랩

한국교육신문 시론/차간 거리와 '인간거리'-김동훈

野塔 방우달 시인 2016. 12. 5. 23:19


[시론] 차간 거리와 ‘인간거리’


김동훈 강원 묵호여중 수석교사‧교육학 박사
▲ 김동훈 강원 묵호여중 수석교사‧교육학 박사


“간격은 통로다. 둘 사이 간격이 있다고 서운하게 생각지 말라. 나무와 나무 사이 간격이 나무를 자라게 하듯이 사람과 사람 사이 간격이 사랑하는 마음을 키운다. 간격은 무엇이든 흐르게 하는 통로다. 바람이 흐르고 햇살이 흐르고 물이 흐르고 정이 흐르고 이야기가 흘러간다. 둘 사이 흐르는 것이 없으면 아무것도 자라지 못한다.” 
 
입담 좋아 보이는 방우달은 자신의 시집 ‘풍선 플러스’에서 그렇게 말했다. 그렇다. 차간 거리를 잘 유지해야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듯이 사람 사이의 거리, 즉 ‘인간거리’도 잘 유지해야 한다. 

 침묵 속에 빠진 교무실

요즘 학교 안에서 교사 간의 인간거리는 적절한가. 너무 가까워져 생기는 갈등보다는 너무 멀어져서 야기되는 문제가 더 많은 듯하다. 사람들은 대개 침묵으로써 외부 세계와 자신을 단절시키고 스스로 고립된다. ‘내가 당신의 영역 안으로 고개를 들이밀지 않을 테니 당신도 나의 영역에 들어오지 마시오’라는 암시가 공기 중에 흐른다. 그래서 ‘당신 수업을 공개하라고 하지 않을 테니, 내 수업도 보겠다고 요구하지 마시오’ 그런 암묵적인 신호가 강하게 감지된다.  

언제부턴가 교무실도 너무 깊은 침묵 속에 빠져버렸다. 공적인 공간이지만 아무도 입을 열지 않고 자기 일에만 열중하면 그곳은 사적 공간과 다를 바 없지 않은가. 공적 공간에서는 공적 문제에 대한 진지한 대화가 필요하다. ‘교실 붕괴’라는 문제 하나만 하더라도 교사 개인이 감당하고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연대와 결속, 소통과 공감을 통해 공론화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런데 어느 누군가가 나서서 그런 문제에 대한 고민을 꺼내놓거나 제안을 하기에 우리네 교무실 분위기는 너무 무겁다. 인간거리가 너무 먼 듯하다. 가끔 누군가 먼저 입을 열어도 대부분 가슴을 열지 않는다. 학생 생활지도나 수업 고민 등은 서로 얼굴을 맞대야 제대로 된 해법이 나온다. 

“교무실에서 제 고민을 깊이 털어놓으면 그것이 곧 저의 무능으로 비쳐질까 솔직히 염려됩니다.” 

어떤 연수 현장에서 직접 들은 말이다. 그러나 덮어둔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마땅히 함께 고민해야 한다. 환부를 함께 절개하고 같이 봉합해야 한다. 그러는 가운데 교사의 전문성도 더불어 신장된다.  

 서로 기대지 못하면 쓰러진다

“어떤 것에 대해 철저히 논했다는 것, 이야기를 나눴다는 것이 충분한 결과이다. 결론이 있어야만 의미 있는 대화가 아니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말이다. 정말이지 우리들의 교무실은 인간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누기 어려워졌다. 서로 얼굴을 맞대지 않고 자신의 일만 열심히 하면 일견 편할는지 모르지만 분명히 그만큼 무기력질 것이다. 

나무들 사이에도 적당한 간격이 중요하다. 사람들 사이에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간격이 너무 벌어지면 서로 기대지 못해 쓰러진다”라고 방우달 시인도 걱정했다. 컴퓨터 화면에 붙박인 시선을 거둬들이고, 이제는 둥글게 모여 앉아 생각을 나누고 고민을 나누며 진정 소통해야 한다.